온-프레미스란?
- 온프레미스(On-premise)는 소프트웨어 등 솔루션을 오프라인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
-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부지비용, 설치비용, 운영비용 등 초기비용이 많이 듦
- 보안적인 이유로 비즈니스에 중요하고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와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관리됨
클라우드란?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
-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원하는 대로 가져다 쓸 수 있는 서비스
- 서버를 직접 구매할 때 고려해야 할 전력, 위치, 확장성을 고민하지 않음
- 데이터 센터 어딘가에 이미 준비되어 있는 서버를 사용하고 준비되어 있는 자원을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
- 서버 세팅 등을 신경쓰지 않고 서비스 운영에만 집중 가능
- 서비스 부하에 따라 실시간 확장성을 지원 받을 수 있음
-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서비스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이 훨씬 높아진다고 할 수 있음
배치 모델
- 클라우드 인프라의 위치와 운영에 따른 분류이고,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으로 구분
퍼블릭 클라우드
- 기업 외부에서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됨
- 인프라 구축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중/소규모 기업 또는 신규 출시한 서비스처럼 예측이 어려운 워크로드를 운영할 때 주로 이용
- 데이터나 기능, 서버 같은 자원은 각 서비스에서 사용자 별로 권한 관리가 되거나 격리 되어, 서비스 사용자 간에는 전혀 간섭이 없다는 장점
프라이빗 클라우드
- 제한된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업이나 특정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자원과 데이터는 기업 내부에 저장. 또한 기업이 자원의 제어권을 갖고 있음
- 따라서 보안성이 매우 뛰어나며, 개별 고객의 상황에 맞게 클라우드 기능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장점
- 기업에서 직접 관리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또는 외부 데이터센터에서도 사설망으로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는 구조이므로 초기 구축 비용과 각종 자원 사용료를 모두 부담해야 하지만 기업 특성에 맞게 운영할 수 있고 보안에 뛰어나다는 장점
멀티 클라우드
- 멀티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업체에서 2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 하나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
- 퍼블릭 클라우드 시스템을 업체를 다르게 하여 이중 구성하는 형태
- 업체 종속성을 피하고, 특정 업체의 클라우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서비스에 타격을 주지 않기 위함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온프레미스의 장점을 결합하여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음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절충안이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인프라 모델
- 클라우드로 전환하면서 가장 우려되는 보안,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문제 또는 기존 인프라 환경과 달라지면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비해 핵심 비즈니스는 온프레미스에 남겨 두고, 추가적인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상황에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 바로 자원을 증설해 사용하는 형태
- 신규 서비스 출시, 디지털 마케팅 활동처럼 예측할 수 없는 워크로드 또는 대용량 데이터의 처리는 비교적 경제적이고 신속하게 자원을 확장할 수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핵심 비즈니스, 기밀이 중요한 데이터 관리 및 백업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로 관리하여 확장성과 안정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음
- 단점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내부 시스템(프라이빗 클라우드/온프레미스)을 연결해야 하고, 각기 다른 시스템을 통합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 구축, 운영에 높은 수준의 전문 기술을 요하고 있어 클라우드 업체에서는 기술 지원과 통합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여 제공
서비스 모델
사용자에게 인프라의 어느 계층까지 서비스할 것인지를 구분하는 모델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비스로서의 인프라’를 뜻하는 IaaS는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Cloud Service Provider)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해 제공하며,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CSP가 책임지고 관리
- 단점 : IaaS는 사용자가 많은 부분을 컨트롤하고 관리할 수 있어 다양한 목적에 따라 인프라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인프라 운영에 대한 경험과 지식, 담당 인력 등 여건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 활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PaaS (Platform as a Service)
- PaaS는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이라는 의미
- PaaS 사용자는 서비스 외적인 부분에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오로지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비즈니스에만 집중할 수 있음
- IaaS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인프라를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별도의 인력이 소요되지 않기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프라 관리에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 단점 : PaaS는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 등을 미리 구축한 상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IaaS보다 관리상의 자유도가 낮다. 또, 사전에 구축된 환경 위에서 개발하기 때문에 이용 중인 PaaS 플랫폼에 종속될 여지가 있음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SaaS는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 중 가장 완성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 SaaS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인프라 구축, 개발 환경 세팅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 대비 초기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음
- 단점 :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서비스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고, 제공 업체가 이미 만들어 놓은 소프트웨어 그대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이 비용에 포함되어 있기도 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