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3

자바 정리 - (3) 연산자 1. 연산자의 종류 종류 연산자 설명 산술 연산자 + -*/% 사칙 연산과 나머지 연산(%) 비교 연산자 >= 이항(2) > 삼항(3). 단항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이항 연산자보다 높다. - 단항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진행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3. 증감 연산자 ++와 -- 증가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i; // ++i ; 전위형 : i의 값을 1 증가시킨다. i++; 후위형 :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5, j=0; j = i++; System.out.println("j=i++; 실행 후, i=" + .. 2023. 1. 17.
자바 정리 - (2) 배열 1.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을 배열(array)이라고 한다. 타입[] 변수이름 = new 타입[길이] ; // 배열의 선언과 생성을 동시에. int[] score = new int[5]; // 길이가 5인 int배열 - 배열의 길이, 초기화, 출력 int[] arr = new int[5]; // 길이가 5인 int배열 int tmp = arr.length; // arr.length의 값은 5이고 tmp에 5가 저장된다. int[] score = new int[] {50,60, 70, 80, 90}; // 배열 초기화 for (int i=0; i < score.length; i++) // 배열 출력 System.out.println(score[i]); 2. String배열의 선.. 2023. 1. 16.
자바 정리하기 - (1) 변수 1.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System.out.print()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하지 않는다. System.out.println()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줄바꿈을 한다. 2. 덧셈 뺄셈 계산하기 System.out.println(5 + 3); // 8이 출력된다 3. 변수의 선언과 저장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 변수타입 변수이름; int x; // 변수의 선언 x = 5; // 변수에 대입 4. 변수의 타입 분류 변수의 타입 설명 숫자 int long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20억이 넘을 땐 long) float double 실수를 저장하기 위한 타입 (float는 오차없이 7자리. double은 15자리) 문자 char .. 202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