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11

컴퓨터 구조 - (3) CPU의 작동 원리 ALU와 제어장치 ALU : 레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피연산자와 제어신호로 산술연산, 논리 연산 등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는 레지스터에 접근하는 속도보다 훨씬 느리다. 플래그 : ALU가 내보내는 연산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상태 정보. 플래그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플래그 종류 의미 사용 예시 부호 플래그 연산한 결과의 부호를 나타낸다 부호 플래그가 1일 경우 계산 결과는 음수, 0일 경우 계산 결과는 양수를 의미한다. 제로 플래그 연산 결과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제로 플래그가 1일 경우 연산 결과는 0, 0일 경우 연산 결과는 0이 아님을 의미한다. 캐리 플래그 연산 결과 올림수나 빌림수가.. 2023. 1. 22.
컴퓨터 구조 - (2) 데이터와 명령어 데이터 비트 : 0과 1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바이트 = 8bit 워드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 이진법의 음수 표현 : 모든 수를 뒤집고 1더하기 문자 집합 :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의 모음으로, 문자 집합에 속한 문자를 인코딩하여 0과 1로 표현할 수 있다 문자 인코딩 디코딩 인코딩 : 문자를 0과 1로 변환하는 과정 디코딩 :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 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 아스키 코드 : 아스키 문자 집합에 0부터 127까지의 수가 할당되어 일대일로 대응되어 인코딩 된다. 유니코드 : 영어권 외의 나라들이 자신들의 언어를 0과 1로 표현할 수 있도록 여러 나라 문자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는 통일된 문자 집합. UTF-8 .. 2023. 1. 20.
컴퓨터 구조 - (1) 개요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면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고 성능/용량/비용을 고려하며 개발할 수 있다. 1.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데이터 : 컴퓨터가 이해하는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명령어에 사용되는 재료. 명령어 : 데이터를 움직이고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정보 2.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1. CPU(중앙처리장치) :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산술논리연산장치 : ALU라고 하며 계산 장치 레지스터 : CPU 내부의 작은 임시 저장 장치 제어장치 : 제어 신호라는 전기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CPU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읽고 싶을 땐 '메모리 읽기' 제어 신호를 보내고 어떤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땐 '메모리 쓰기' 제어 신호.. 2023. 1. 17.